우리의 PC를 지키자 SANDBOX?
본문 바로가기

정보와지식

우리의 PC를 지키자 SANDBOX?

반응형

WINDOWS10이상에서 운용하시는 분들은 아래의 방법으로 샌드박스를 설치하시면 됩니다. 잘 안되는시는 분들은 아래의 동영상을 보시고 천천히 따라하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는 않고, 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서 설치해야 한다. 제어판 → 프로그램 제거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 Windows 샌드박스를 선택하고 재부팅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센드박스?  종류와 특징, 활용법

센드박스 소프트웨어의 종류

  • 가상 머신 기반 센드박스
  • 컨테이너 기반 센드박스

센드박스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가상 머신 기반 센드박스는 실제 운영 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는 센드박스입니다. 가상 머신 기반 센드박스를 사용하면 개발자는 실제 운영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가장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 기반 센드박스는 가상 머신보다 가볍고 빠른 환경을 제공하는 센드박스입니다. 컨테이너 기반 센드박스를 사용하면 개발자는 가상 머신 기반 센드박스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종류에 대한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류 장점 단점
가상 머신 기반 * 실제 운영 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여 정확한 테스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다양한 운영 체제나 하드웨어 환경에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 가상 머신 생성에 시간이 소요된다. * 가상 머신 크기가 크므로 시스템 자원을 많이 차지한다.
컨테이너 기반 * 가상 머신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 시스템 자원을 적게 차지한다. * 실제 운영 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 다양한 운영 체제나 하드웨어 환경에서 테스트를 수행하기 어렵다.

센드박스 특징

  • 안전한 환경 제공
  • 효율적인 테스트 수행

센드박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전한 환경 제공

센드박스는 실제 운영 환경과 분리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개발자는 센드박스 소프트웨어에서 테스트를 수행하더라도 실제 운영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효율적인 테스트 수행

센드박스는 가상 머신이나 컨테이너와 같은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테스트 환경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개발자는 실제 운영 환경에서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센드박스의 활용법

센드박스는 다음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새로운 기능이나 서비스 테스트

센드박스는 새로운 기능이나 서비스를 테스트하기 위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개발자는 센드박스를 사용하여 새로운 기능이나 서비스의 안정성, 성능, 호환성 등을 미리 확인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 보안 테스트

센드박스는 보안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개발자는 센드박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보안 취약점을 미리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시뮬레이션 테스트

센드박스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여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발자는 센드박스를 사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확인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샌드박스 마지막에 나오는 경고문구

 

 

 

 

 

 

 

 

윈도우10 Home Edition에서 Sandbox 사용하기

HowTo - 윈도우 10 Home Edition Sandbox 설치 및 사용 방법 윈도우 10 v1904 에서 Windows Sandbox 기능을 도입했습니다. 샌드박스는 현재 사용하는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새 응용프로그램과 다른 윈도우

forbes.tistory.com

 

 

 

 

반응형

'정보와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열풍 그이후 나온 인공지능 AI(BARD)  (1) 2023.11.29
칸아카데미(육아교육)  (1) 2023.11.27
JPG를 WEBP로 변환과 이미지 압축특징  (0) 2023.11.10
거북목 예방  (0) 2023.11.03
퇴직금 지급 방식 변경  (0) 2023.11.01